반응형 북미35 e스포츠의 한류열풍을 이끈다!…블리즈컨 2015를 빛낼 한국 e스포츠 선수들 한국 게이머와 e스포츠 선수들의 위상과 저력을 전 세계에 떨칠 블리즈컨 2015가 이제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다. 한해 블리자드 e스포츠를 총결산하는 자리이자 ‘e스포츠의 올림픽 무대’ 라고도 할 수 있는 올해 블리즈컨에서 우리 대한민국 선수들이 또 어떤 멋진 모습으로 세계의 이목을 끌지 팬들의 기대가 크다. 블리즈컨 2015(BlizzCon® 2015) 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최하는 단일 게임회사 주최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게임 축제로, 이곳에서는 블리자드 게임에 대한 최신 소식뿐만 아니라 스타크래프트 II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2015 StarCraft® II World Championship Series), 하스스톤 월드 챔피언십(Hearthstone® World Championship), 히.. 2015. 10. 16. 대난투 RPG 가디언헌터, 글로벌 300만 다운로드 돌파! 기사출처 플레이팸 http://www.playfam.com/s/51352 NHN엔터테인먼트㈜(대표 정우진) 가 서비스 하고 모바일게임 개발사 트롤게임즈(대표 양기범) 가 개발한 3D 액션RPG '대난투RPG 가디언헌터'(이하 가디언헌터) 가 2일 글로벌 300만 다운로드를 돌파했다. 7월 말 글로벌 180만 다운로드 기록 후 약 한달 만의 성과로, 글로벌 출시 후 세 달이 지난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이용자 수는 오히려 탄력을 받고 늘어나는 추세다. '가디언헌터' 는 7월 초 NHN엔터테인먼트가 ‘글로벌원빌드’ 로 전세계 모든 국가에 선보인 3D 액션RPG다. 출시 후 타격감, 조작감, 화려한 연출 등 탄탄한 액션게임 요소들과, 카툰 느낌을 차용한 독특한 그래픽, 보스레이드, 길드시스템, 길드보스레이드, 무.. 2015. 9. 2. 게임·모바일 B2B 국제행사 ‘맥스서밋 2015 서울’ 개최 기사출처 플레이팸 http://www.playfam.com/s/51280 국내외 모바일 산업 생태계를 주도하는 주요 기업과 유망 스타트업이 한 자리에 모이는 B2B 종합 행사가 서울에서 개최된다. ㈜모비데이즈(대표 유범령) 와 게임넥스트웍스㈜(대표 김윤상) 은 10월 5일,6일 양일 간 COEX 그랜드볼룸 및 오디토리움에서 ‘맥스 서밋 2015 서울(MAX SUMMIT 2015 SEOUL)’ 행사를 주최한다고 밝혔다. 두 기업이 행사를 공동 주최하고 서울시와 경기도, (사)한국모바일게임협회 등 여러 공기관이 후원한다. 게임, 광고, 커머스, 핀테크, 투자 등 모바일 산업 생태계 전반의 비전 공유와 B2B 네트워킹에 특화된 종합 행사다. 국내외 모바일 관련 기업의 주요 임직원 5,0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 2015. 8. 31. 모바일 e스포츠 최초의 한일전 '베인글로리 월드 인비테이셔널' 결승전 기사출처 플레이팸 http://www.playfam.com/s/50451 CJ E&M 게임채널 OGN의 신규 프로그램 "베인글로리 월드 인비테이셔널" 의 결승전이 오는 8월 14일 (금) 낮 3시 30분에 방송된다. 이번 결승전은 그동안 다른 e스포츠 대회에서 쉽게 볼 수 없었던 대결이 펼쳐질 전망이다. 4강에서 북미 지역 최강팀인 ‘갱스타스’ 를 꺾은 한국의 ‘무적함대’ 와 일본의 ‘디바인 브라더스’ 가 결승전 맞대결의 주인공이다. 한국의 무적함대는 유럽과 북미 지역 최강팀을 연파하며 한국의 e스포츠 종주국이자 최강국이란것을 증명했다. 반면 지금까지 e스포츠계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 했던 일본이기 때문에 이번 대회에서도 약체로 평가 받았던 ‘디바인 브라더스’ 는 북미의 ‘팀 퓨전’ 과 중국 대표 ‘.. 2015. 8. 13. [객원칼럼] 유튜브 저작권 단속, 모두에게 공평한가? 현재 대한민국은 온라인, 모바일 에서 동영상 콘텐츠가 정말 대세라고 불리우고 있다. 특히 MBC에서 방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마이 리틀 텔레비전' 의 인기와 대중의 관심을 인하여, 이와 같은 1인칭 방송포맷으로 만들어진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조회수도 높아져 가고 있다. 그 중심에는 유튜브(YouTube)가 있다. 하지만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일명 유투버들은 이 글의 맨 위의 사진을 보면 간담이 서늘할 것이다. 사진에 나온 화면은 해당되는 영상콘텐츠가 저작권의 이유로 차단되는 강력한 조치의 화면이다. 유튜브가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게 된 것은 비단 인터넷방송 뿐만 아니다. 바로 유튜브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수익구조 시스템이다. 유튜브는 일찍이 각 동영상에 광고 배너나 선 광고 영상을 심.. 2015. 7. 25. 이전 1 ···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