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덕포텐’은 대한민국 오덕 문화계의 화제가 된 이슈와 인물에 대해 얘기를 다뤄보자는 취지에서 만든 방송 콘텐츠입니다. 그리고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있는 덕후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키고 덕후들의 좋은 활동을 홍보하는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덕후들의! 덕후들의 의한! 덕후들을 위한! 방송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수익화 및 마케팅 선도 기업 아이언소스(http://www.ironsrc.com/ko) 가 모바일 게임 개발자를 위한 혁신적인 크로스 프로모션 솔루션(cross promotion tool) 을 3일 출시했다. 아이언소스(ironSource) 의 크로스 프로모션 솔루션을 통해 개발자는 광고 네트워크의 기능을 모두 활용하고 효과적인 크로스 프로모션 캠페인을 실행할 수 있다.
크로스 프로모션은 한 퍼블리셔에서 서비스 중인 두 게임이 제휴해 광고를 통해 사용자를 획득하는 마케팅 방식이다. 앞서 출시돼 인기를 모은 모바일 게임 유저를 같은 회사의 신작 게임에 유입시킬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아이언소스 미디에이션(mediation) 플랫폼을 사용하는 앱 개발자는 비용 효율적으로 기존 게임 유저가 새로운 게임을 이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기존 유저의 가치를 극대화한다. 이는 광고 성과 측정, 데이터 과학, 리포팅 제한 문제로 그 동안 구현이 어려웠다.
아이언소스(ironSource) 는 사용자 유입(UA) 관련 전문성과 강력한 최적화 기능을 갖춘 미디에이션 플랫폼을 결합해 혁신적인 크로스 프로모션 솔루션을 제공한다. 아이언소스의 새로운 솔루션은 모바일 게임 개발자에게 크로스 프로모션 전용 개인 광고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아이언소스 ROAS 자동 최적화 툴과 같은 기능을 비롯해 CPI(Cost Per Install∙유저 획득 단가) 비딩, 캠페인 성과 측정, 데이터 다이나믹 비딩, 서프레션(suppression) 등 네트워크 기술을 모두 활용해 캠페인을 운영할 수 있다. 수익화 관리자는 다른 네트워크 인스턴스와 마찬가지로 최적화된 미디에이션 워터폴(waterfall) 내에서 크로스 프로모션 인스턴스를 설정할 수 있다.
플레이젠더리(Playgendary) 의 드미트리 글레브녹(Dmitriy Glebenok) 최고기술책임자(CTO) 는 "아이언소스 툴을 활용해 ‘킥 더 버디(Kick the Buddy)’ 게임 및 기타 타이틀을 프로모션한 것은 최고의 선택이었다.” 라며, “크로스 프로모션 캠페인 진행 시 광고 네트워크를 전면 활용하기 위해 우리 자신과 경쟁하고 유저에게 커미션을 지불하던 때가 있었다. 아이언소스 툴 덕분에 크로스 프로모션을 진행함에 있어 정확한 수치와 비즈니스 마인드를 갖고 광고를 집행하게 됐다.” 고 밝혔다.
아이언소스 제품 개발 솔루션 부사장 님로드 주타(Nimrod Zuta) 는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들은 오래 전부터 사용자 유입을 위해 타 활동과 동일한 수준의 정교함을 지닌 크로스 프로모션 캠페인 관리 솔루션을 요구해 왔다.” 며, "그들에게 크로스 프로모션 최적화는 어려운 문제다. 그러나 아이언소스의 새로운 솔루션은 앱 비즈니스 수익화와 사용자 유입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을 함으로써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의 성장을 돕는다. 모바일 게임의 성장 플랫폼이 된다는 목표 아래 우리는 크로스 프로모션의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고 말했다.
현재 이용 가능한 모든 크로스 프로모션용 솔루션은 수익화와 마케팅에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크로스 프로모션 캠페인 실행을 위해 광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퍼블리셔는 자신과 경쟁하거나 기존 유저에게 과도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으며, 광고 성과 측정 역시 어렵다. 서프레션 리스트(suppression list∙구독 취소 사용자 목록) 를 사용할 수 없어 게임을 이미 다운로드한 유저에게 마케팅을 진행하기도 한다.
저품질의 백필 인벤토리(backfill inventory) 에서만 크로스 프로모션 캠페인을 실행하는 방식도 최선의 선택은 아니다. 다른 게임을 다운로드한 기존 사용자가 잠재적으로 높은 LTV(Life Time Value∙유저 생애 가치, 유저가 게임을 즐기는 기간 동안 평균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는 금액의 총합) 를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퍼블리셔가 이에 맞게 최적화할 수 없다.
퍼블리셔가 자신이 선택한 광고 네트워크 외부에 있는 전용 광고 포맷을 활용한다 하더라도 광고 게재, 작성, 추적, 최적화는 내부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외부 수요를 가진 광고 포맷을 수익화하지 않을 시 수익이 감소할 수 있다. CPM(Cost Per Mille∙1000회 노출당 가격) 과 전용 워터폴 인스턴스를 바탕으로 구매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 방법이지만 이는 앱 설치 추적, CPI 비딩, 구독 취소 등 퍼포먼스 UA의 기본 요소 중 어느 하나도 트래킹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닌다.
100% 오리지널 음악으로 무장한 모바일 RPG리듬 액션 게임 '다르마' 가 지난 10월 7일 게임 출시 이후 무료 아이템 및 정령 상품을 추가하는 등 2차 업데이트를 완료했다.
‘다르마’ 의 주요 업데이트 된 부분에서 주목할 점은 튜토리얼 삽입이다. 기존에는 튜토리얼이 없어 처음 게임을 접한 사용자가 적응하기 어려웠다. 튜토리얼의 삽입으로 리듬 액션 게임의 게임 진행 방식에 보다 쉽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개선됐다.
에피소드1 의 Stage3 까지 튜토리얼이 삽입되었다. 또한 광천못의 정령 업그레이드 방법 및 인벤토리의 각 아이템 설명도 튜토리얼로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골드, 환생꽃, 공격꽃, 안티브레이크 등의 아이템을 동영상 광고를 통한 무료구매가 가능해졌다. 캐릭터를 강화할 수 있으며 아이템의 활용이 높아져 보다 화려한 게임 플레이를 즐길 수 있다. 더불어 앞으로 상점에서 각 레벨별 정령을 구매할 수 있다. 리듬 액션 게임 '다르마' 는 구글플레이 스토어(https://goo.gl/Ed5P85) 와 애플 앱스토어(http://goo.gl/XIMjOA) 에서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할 수 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